스페인 리오하(Rioja) 지역의 레메유리(Remelluri) 레세르바 2013(Reserva 2013)에 대한 와인정보, 와인가격입니다.

1. 레메유리(Remelluri)
레메유리는 리오하에서 그리고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된 와이너리 중 하나입니다. 이 신비하고 멋진 장소의 기원은 세월의 뒤안길로 잊혔지만 농장 한가운데 위치한 고대 묘지는 적어도 이 농장이 10세기부터 존재해 왔음을 증명해 주며 선사시대, 로마시대, 무어인, 중세의 흔적들은 고대시대부터 현재까지 농업활동을 했음을 증명합니다.
리오하 알라베사(Rioja Alavesa), 라바스티다에 있는 한때 톨로뇨 수도원(Tolono Monastery)이었던 레메유리는 14세기부터 수도승이 포도와 곡물을 재배하던 농장입니다. 19세기까지 교회에 속해있던 농장은 1965년부터 바스크 지방의 사업가 Jaime Rodriguez Salis가 소유합니다.
로드리게스 패밀리 아래 1971년 첫번째 빈티지가 출시한 이후 80년대, 90년대를 거쳐 품질면에서 탑와이너리로 유명해지며 현재까지 리오하의 선두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그의 자녀인 텔모(Telmo)와 아마이아(Amaia)가 와이너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레메유리의 95 ha의 빈야드는 200여개의 작은 구획으로 이루어져 있고 시에라 칸타브리아(Siera de Cantabria)의 높은 해발고도(550~800m) 산기슭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와이너리에 속해 있는 포도밭에서 재배한 포도만을 사용해서 와인을 생산하고 병입 하는 모든 생산과정이 농장 안에서 이뤄지는 샤또 스타일의 와이너리입니다. 전통적인 농업방식과 생태학적 재배방법, 유기농 방식을 고수하며 오랜 역사 동안 단 한번도 제초제와 화학비료를 사용한 적이 없습니다.
현재 비오디나믹 농법을 실행하고 있으며 토착 품종을 고집하고 테루아를 최대한 표현하는 와인을 생산합니다.
(출처 : 뱅가드와인머천트)
2. 레세르바 2013(Reserva 2013)
사실 리오하의 2013년은 작황이 좋은 해는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성도 높은 와인을 생산하였다고 생각됩니다.

여담이지만, 라 리오하 알타(La Rioja Alta)의 비냐 아르단자(Vina Ardanza)의 경우 작황이 좋은 해에만 생산한다고 알고 있고 최근에는 2012, 2015, 2016 빈이 출시되었습니다. 리오하의 빈티지 차트 상으로도 90점 이상인 경우에만 생산하였네요.
[와인추천] 라 리오하 알타, 비냐 아르단자 2012(La Rioja Alta, Vina Ardanza 2012)
와인추천, 와인구매, 라 리오하 알타, 비냐 아르단자, 와인 정보, 구매처, 가격 정보 리오하의 보석 같은 존재, 라 리오하 알타(La Rioja Alta)의 비냐 아르단자 리제르바 2012(Vina Ardanza, Reserva 2012)입니
pinonero.tistory.com
다시 레메유리로 돌아와서 작황이 좋지 않은 해에 생산되었지만 파커 포인트 93점, J. 서클링 93점이며, 비비노에서의 평점도 4.2점으로 높은 편에 속합니다.

오픈하였을 때는 붉은 과실향과 산도가 강한듯하여 절반은 디캔팅 후 1시간 정도 브리딩하고 시음하였습니다. 그리고 남은 절반은 다음 날 시음하였습니다.
■ 와인의 색(Color)

중간정도의 루비색으로 전형적인 템프라니요 품종의 색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 와인의 향(Nose)

오픈 초기에는 딸리과 크랜베리와 같은 붉은 과실향이 지배적입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검은과실, 오크향, 가죽향이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 와인의 맛(Palate)
미디엄 바디에 탄닌은 중간보다 높은 정도로 시간이 지날수록 탄닌감이 느껴집니다. 드라이한 편이며, 산도는 높은 편에 속합니다.
오픈 초반에 붉은 과실향이 느껴진것과 다르게 검은 자두, 검은 체리와 같은 검은 과실의 맛이 지배적입니다.
그리고 민트와 감초, 바닐라, 토바코, 오크의 향이 복합적으로 올라옵니다.
브리딩 후 3시간 정도 지난 시점에도 산도가 받쳐 주고 구조감이 좋습니다.
다음날 마셔보았을 때도 여전히 복합미가 살아있어 맛있게 마셨습니다.
- 산지 : 스페인 > 리오하
- 품종 : 뗌쁘라니요(85%), 그나라차(10%), 그나치아노(5%)
- 도수 : 14%
- 구매처 : 뱅가드와인머천트
- 구매가격 : 5.6만원
'와인 > 와인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 리뷰] 곤잘레스 비야스 넥타 페드로 히메네스(Gonzalez Byass, Nectar Pedro Ximenez) (1) | 2023.05.08 |
---|---|
[와인 리뷰] 디어버그 샤르도네 2016(Dierberg Chardonnay 2016) (0) | 2023.03.22 |
[와인 리뷰] 오린 스위프트, 팔레르모 2020(Orin Swift, Palermo 2020) (0) | 2023.03.07 |
[와인 리뷰] 필립 파칼레, 물레아방 2018(Philippe Pacalet, Moulin A Vent 2018) (2) | 2023.03.02 |
[와인 리뷰] 도멘 파케, 생 베랑 2018(Domaine Paquet, Saint Veran 2018) (0) | 2023.02.28 |
댓글